푸른 소나무 울타리 靑松障
짙푸름이 창 앞까지 이어져
그윽한 솔숲을 이루네. 翠黛連窓窈作林(취대연창요작림)
산들바람 불어오면 빗소리를 내며
뜰에 온통 시원함을 뿌리네. 小風吹雨一庭陰(소풍취우일정음)
문 앞에서 구불구불 울타리로 굽히고 있어도 縱成屈曲當前障(종성굴곡당전장)
솟구쳐 하늘로 오르려는 희망 잊은 적 없네. 不忘升騰向上心(불망승등향상심)
도심 쪽을 가로막아
뽀얀 연기를 멀리 몰아내지만 闤闠敎遮煙色遠(환궤교차연색원)
가지 사이는 툭 트여서
달빛이 쏟아져 들어오네. 枝柯偸豁月光侵(지가투활월광침)
호젓한 새는 병풍 속 그림으로 알련마는 幽禽認是屛間畵(유금인시병간화)
이상도 해라. 고운 노래 때때로 들려주네. 怪底時時送好音(괴저시시송호음)
靑松障 jīng sōng zhàng
翠黛连窗窈作林 cuì dài lián chuāng yǎo zuò lín
小风吹雨一庭阴 xiǎo fēng chuī yǔ yì tíng yīn
纵成屈曲当前障 zòng chéng qū qǔ dāngqián zhàng
不忘升腾向上心 búwàng shēngténg xiàngshàng xīn
闤闠敎遮烟色远 huán huì jiào zhē yān sè yuǎn
枝柯偷豁月光侵 zhīkē tōu huò yuèguāng qīn
幽禽认是屛间畵 yōu qín rèn shì bǐng jiān huà
怪底时时送好音 guài dǐ shíshí sòng hǎo yīn
/이철원 그림
정조 때의 명재상 채제공(蔡濟恭·1720~1799)이 혼인한 직후 지었다. 서울역 뒤 처가에 머물 때였다. 그 집에는 노송을 구부려 만든 생울타리, 곧 취병(翠屛)이 있었다. 울타리는 작은 솔숲을 이뤄 바람이 조금 불어도 쏴 소리를 내며 온 집 안에 시원함을 선사한다. 도성 안의 붉은 먼지를 막을 만큼 빽빽하지만 가지 틈은 넓어 달빛이 마구 쏟아져 들어온다. 하지만 그 멋진 풍경이 마냥 좋지만은 않다. 소나무를 비틀고 구부려 만들어서다. 그래도 굽은 저 소나무는 하늘로 솟구쳐 쭉쭉 뻗으려는 본성을 결코 잊지 않았다. 지금은 몸을 굽히고 있을지라도 언젠가는 하늘을 향해 솟구치리라. 나 아직 젊으니 그것을 기억해라!
안대회 |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성대는 세월/ 이 휘사 (0) | 2014.09.26 |
---|---|
즉사 / 정경세 (0) | 2014.09.17 |
아내에게 보여주다 (0) | 2013.09.13 |
송어(松魚) (0) | 2013.09.13 |
그림자 (0) | 201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