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칠레광부 33인 ‘아름다운 기적’] "75%의 과학과 25%의 기적 700m 밖 모
푸른물
2011. 3. 3. 12:56
[칠레광부 33인 ‘아름다운 기적’] "75%의 과학과 25%의 기적 700m 밖 모기 맞히는 것 같아"
- 기사
- 100자평(9)
입력 : 2010.10.15 03:01
탐침기로 광부들 찾아낸 지형학자
산호세 광산 사고가 발생한 지 17일이 지난 8월 22일. 구조대원들은 지형학자 마카레나 발데스(30)의 계산에 따라 탐침기를 광부들이 갇혀 있을 만한 갱도를 향해 꽂아 넣고 있었다. 그동안 30번 넘게 탐침기를 찔러 봤지만 소득이 없었다. 모두가 지쳐갈 때쯤, 땅속에서 누군가 탐침기 끝을 '퉁, 퉁' 두드렸다. 지상에서 최초로 감지한 지하 700m 아래 광부 33인의 '생존 신호'였다."75%는 과학, 25%는 기적의 힘이었어요."
- ▲ 칠레 광부들이 매몰됐던 광산에 구멍을 뚫고 내려보낸 탐침기. 카메라가 달렸다.
처음 산호세 광산 구조 현장에 배치된 뒤, 발데스는 갱도의 구조도와 그동안의 지질 탐사 기록을 면밀히 대조하며 광부들이 있을 만한 갱도를 추정해 나갔다. 매번 누군가가 탐침기의 끝에 생존 메시지를 달아주기를 기도했지만 구조대는 매번 실패 소식을 전해 왔다. 그 때마다 누구보다 절망하고 마음 졸인 것도 그녀였다.
발데스는 "이들을 찾는 작업은 마치 700m 거리에 있는 모기를 맞히려고 총을 쏘는 것과 같았다.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굉장히 어려웠다"고 말했다. 또 남성 중심의 광산 현장에서, 발데스가 여성이라는 이유로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여성은 불운을 불러온다는 칠레 광부들의 미신 때문이었다.
광부들을 찾은 것은 천운이었다. 발데스는 드릴을 작동시킬 때 항상 지질학자들이 추천하는 것보다 항상 1도 정도씩 각도를 아래쪽으로 변경시키곤 했다. 진동으로 인한 경로 변경을 고려한 조치였지만, 지상에서 각도 1도는 지하에서 수백m의 차이를 낼 수도 있어 일종의 '도박'이기도 했다. 광부들의 생존을 확인한 8월 22일은 발데스의 이 '도박'이 기적을 이뤄낸 날이었다.

- "사이가 좋았었다고?" 칠레 광부들, 식인 공포에도 시달렸었다
- 칠레 광부 구조에 '한국 기술' 숨어 있었다
- 불륜 드러났던 칠레 광부, 밖으로 나오자 그의 아내는…
- 기적 만든 광부들에게 기자들 "인터뷰해주면 돈 줄게"
- 피녜라 칠레 대통령 "칠레는 예전보다 더욱 강해졌다"
- 69일간 세계를 웃기고 울렸던 구조작업, '임무 완료'
- 칠레를 혼란에 빠뜨리지 않았던 가족·국민의 인내 '만점'
- '광업 선진국' 남아공, '칠레의 기적'에 웃고 울어
- "중국서 칠레 매몰 사고 났다면 생매장" 중 네티즌 탄식
- "북한 조선중앙방송, 칠레 구조현장에 특파원 보냈다"
- 전 세계서 주목하는 칠레 광부 캡틴 '우르수아 리더십'
- 칠레 프로축구협회 "구조 광부 33명, 한국 여행 보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