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년 만에 日서 돌아온 觀音의 눈빛은 쓸쓸하기만…허윤희 기자 ostinato@
700년 만에 日서 돌아온 觀音의 눈빛은 쓸쓸하기만…
- 기사
- 100자평(1)
입력 : 2010.10.11 03:15
내일부터 '고려불화大展'
명품 중 명품 '물방울 관음'… 현해탄 건너 처음 선보여
美·日·유럽 등에서 귀국… 동아시아 불화 비교 감상도
전시장 한복판, 감실처럼 조성된 어두운 공간에 그림 한 점에만 조명이 떨어진다. 온 세상 중생의 고난을 보살핀다는 자비(慈悲)의 관세음보살이 비단 화폭 속에서 고고한 자태로 빛나고 있다. 슬픈 듯 우수에 젖은 눈빛, 팔에 걸쳐진 채 발아래까지 내려오는 투명한 베일, 버드나무 가지를 잡고 있는 가느다란 손가락…. 일본 센소지(淺草寺) 소장 고려불화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다.일반적인 수월관음도가 바위에 걸터앉은 모습인 것과 달리, 이 수월관음도는 물방울 모양 광배(光背) 안에 서 있는 자세여서 '물방울 관음'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관음보살의 손가락 끝에서부터 물 위를 스치는 옷자락 끝까지 흐르는 선(線)의 아름다움, 차분하면서도 단계적인 농담(濃淡)으로 효과를 준 색채감이 환상미의 극치를 이룬다. 화면 오른쪽에는 '해동(海東) 승려 혜허(慧虛)가 그렸다'는 글씨가 남아있다.
- ▲ 일본 도쿄 센소지(淺草寺) 소장‘수월관음도’. 불법(佛法)을 구하는 선재동자가 관음보살을 찾아가 가르침을 받는다는 내용을 그린 고려불화다. 비단에 채색, 142.0×61.5cm.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고려불화는 일본의 사찰과 박물관을 비롯한 전 세계에 흩어져 있어, 이번 전시는 출품기관만 44곳에 이른다. 이번 특별전을 기획하고 2년 동안 준비한 민병찬 전시팀장은 "출품작 대부분이 한국에 처음 공개되는 작품으로, 소장한 사찰에서 '그림도 한 번쯤은 자기 고향에 돌아가고 싶어하지 않겠나'라면서 대여를 허락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전했다.
- ▲ 일본 조코지(淨敎寺) 소장‘아미타팔대보살도(阿彌陀八大菩薩圖)’. 아미타여래가 여덟 보살을 거느리고 움직이는 듯하다.
전시는 주제별로 구성됐다. 1부 '깨달음의 존재, 부처'는 고려불화 중에서도 부처를 주존(主尊)으로 그린 작품들을 모았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아미타삼존도(국보 218호)'는 아미타불이 보살들을 거느리고 극락에 왕생할 사람을 맞이하러 오는 내영도(來迎圖) 형식으로, 서하(西夏)의 그림인 러시아 에르미타주박물관 소장 '아미타삼존내영도'와 나란히 전시됐다. 두 그림은 주제와 구도가 비슷하지만 색채감이 뚜렷이 구분된다.
2부 '중생의 구제자, 보살'은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을 주제로 한 불화들을 전시했다. 일본 단잔(談山)신사 소장 '수월관음도'는 귀갑·연꽃무늬를 입힌 붉은 치마의 색감과 옷 주름에 사용된 금니(金泥)까지 선명하게 남아 있다. 죽은 후의 세계를 관장하는 지장보살을 그린 그림들도 나란히 놓여 있어 비교, 감상할 수 있다.
3부 '수행자의 모습, 나한'은 1235~6년에 그려진 '오백나한도' 연작을 선보이며, 4부 '이웃나라의 불보살'에서는 고려불화와 같은 시기에 그려진 중국과 일본의 불화들을 전시해 동아시아의 불교회화를 넓은 시야에서 감상할 수 있게 했다. 특히 1909년 코즐로프 탐험대가 하라호토에서 발굴한 12~13세기의 서하(西夏) 불화 3점(러시아 에르미타주박물관 소장)이 주목된다. 에필로그인 '전통의 계승'에서는 조선전기 왕실에서 발원한 불화들을 통해 고려불화의 전통이 조선시대에 어떻게 계승되었는지를 살펴본다.
관람료는 7~18세 1000원, 19~25세 2000원, 26~64세 3000원이며 단체는 할인된다. (02)2077-9000